목록마르크스 (7)
Inspiration
민중민주주의 사관 비판 金容稙 | 성신여대 교수, 정치외교 - 목차 -1. 근대사는 민족해방론으로, 현대사는 민중민주주의론으로2. 민중민주주의의 사상적 기원3. 한국의 민중민주주의 등장: 1980년대 초 마르크스주의 사관의 유입 4. 민중민주주의의 관점과 주장 1) 보편을 가장한 특수의 관점: 계급사관 2) 자유민주주의의 실패론 3) 반외세 민족민중혁명론5. 민중민주주의론 비판과 대안 1) 잘못된 철학적 전제: 마르크스주의 계급사관(階級史觀) 2) 역대 대통령의 폄하와 민중운동의 절대화 3) 민주화와 절차적 민주주의 불신론6. 결론 1. 근대사는 민족해방론으로, 현대사는 민중민주주의론으로 고교교과서 한국근현대사를 읽다 보면 놀라운 점은 한국 근현대사가 매우 왜곡된 관점에서 기술되고 있으며 도처에서 마르크..
두 얼굴의 중국 공산당(제1편)/The Two-Faced Tactic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두 얼굴의 중국 공산당(제2편)/The Two-Faced Tactic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마르크스주의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중공. 중공몽의 숨은 진실.
마르크스가 애담 스미스의 국부론을 씹기 위해 저술했다는 자본론. 자본론에는 결론이 없다. 그가 꿰뚫어 본 것은 자본주의의 탁월함이다.
최근에 조지오웰의 동물농장을 다시 읽어봤다. 이 책의 배경이 되는 시기와 지금이 또한 다르지 않음을 경계한다. 배경이 되는 매너(Manor) 농장은 제정러시아를, 그 농장의 주인인 존스는 니콜라이 2세로 비유된다. 폭스우드 농장(농장주 필킹턴)은 영국을, 핀치필드 농장(농장주 프레더릭)은 독일을 지칭한다. 매너 농장의 본채는 크램린 궁으로 묘사된다. 존스 제정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 메이저 수퇘지. 후계자 세 돼지들을 가르침. 마르크스-레닌. 나폴레옹 버크셔 종의 수퇘지. 스탈린 스노우볼 트로츠키 스퀼러 공산당 기관지인 프라우다 또는 기회주의 선동가. 스노우볼, 나폴레옹, 스퀼러는 메이저의 가르침을 받아 동물농장에 "동물주의"라는 사상을 심음. 등장하는 돼지들은 볼세비키 지식인을 지칭. 복서 장신, 거구..
혁명의 교훈들은 혁명의 이념을 단숨에 3단계로 분리시킨다. 이것은 정당화할 수 없는 학살에 만족하지 못하는 모든 혁명가들과 반혁명가들이 찬양하는 이념이다. 1. 이데올로기 준비 혁명은 사상의 유효성을 입증해준다. 세계를 지배하기 전에, 이성은 우선 이 세계를 혼란에 빠뜨린다. "당대의 정신 속에서 보이지 않는 비밀의 혁명이 먼저 일어난 후에야 우리 눈에 명백히 드러나는 모든 중요한 혁명들이 일어났다." 예수에 주어진 법칙이며(헤겔), 다음에는 사회주의에 원용하기 위해 초기 기독교인들의 예에서 끌어낸 법칙이다(엥겔스). "하나의 정치권력을 타도하기 위해서는 항상 여론을 먼저 준비해야 하며, 이데올로기적 작업을 해야만 한다" (마오쩌뚱). 마오쩌뚱은 거지들과 손을 잡고 농촌에서 혁명을 일으켰다는 사실을 제외..
젊고 호전적인 근대국가들에 둘러싸였던 독일의 불행은 수세기 동안 국가의 형태를 갖추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국가를 하나 만드는 데서 행복감을 찾는 것은 해방된 모든 나라들, 즉 '발전 도상에 있는' 혹은 '민족해방투쟁'을 수행하는 모든 나라들의 민족적, 혁명적 앨리트들이 추구하는 하나의 신기루이다. 나라를 하나 세우기 위해서는 모든 역사적 문화적 힘을 한데 모아야 한다는 것, 그것이 바로 '독일'정신이었다. 그래서 독일은 전환기마다 해방전쟁을 기다렸다. 그것의 결말은 전혀 필연이 아니었다. 유일한 필연은 몇 사람의 우연한 만남이었다. 운명에 의해 운명을 거스르며 투쟁하는 사람들에게 달린 문제였다. 그 적수들의 이름을 알아 두는 것도 무익한 일은 아닐 것이다. 그들은 사계에서 가장 지성적인 피히테, 헤겔, ..
쉼표 하나라도 문제가 되는 마르크스 이론의 법칙은, 레닌-알튀세르의 말을 빌리면, 단순한 하나의 학문이 아니라, 결정의 과학이다. 학자들이 그 법칙의 쉼표 하나만 잘못 읽거나 위치를 바꾸면 그것은 강제수용소도 되고, 유례없는 사회주의의 지복도 된다. 권력이 이 텍스트들을 휘두르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확실한 표시이다. 그리고 자신이 효과적으로 무지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려고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엄청난 효과를 발휘한다는 명확한 징후이다. - 사상의 거장들(글뤽스만 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