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모택동 (5)
Inspiration
민중민주주의 사관 비판 金容稙 | 성신여대 교수, 정치외교 - 목차 -1. 근대사는 민족해방론으로, 현대사는 민중민주주의론으로2. 민중민주주의의 사상적 기원3. 한국의 민중민주주의 등장: 1980년대 초 마르크스주의 사관의 유입 4. 민중민주주의의 관점과 주장 1) 보편을 가장한 특수의 관점: 계급사관 2) 자유민주주의의 실패론 3) 반외세 민족민중혁명론5. 민중민주주의론 비판과 대안 1) 잘못된 철학적 전제: 마르크스주의 계급사관(階級史觀) 2) 역대 대통령의 폄하와 민중운동의 절대화 3) 민주화와 절차적 민주주의 불신론6. 결론 1. 근대사는 민족해방론으로, 현대사는 민중민주주의론으로 고교교과서 한국근현대사를 읽다 보면 놀라운 점은 한국 근현대사가 매우 왜곡된 관점에서 기술되고 있으며 도처에서 마르크..
[이춘근의 국제정치 19회] 중국은 한국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인가? (1) The War Puzzle 90%가 국경이 붙어있는 나라들 사이에서 전쟁 발발했다. 나머지 10%는 가까운 나라들 사이에서 전쟁이 발발했다. 역사적으로 우리나라는 100% 중국, 일본과 전쟁했었다. 전쟁이란 미운 나라랑 싸우는 것이 아니라, 무서운 나라와 싸우는 것이다. 무서운 나라란? 가까이 있는 강대국이다. 제일 힘이 강한 나라를 "잠재적 적"으로 지정하고, 그 다음으로 힘이 센 나라와는 가능하면 협력을 해서 가장 강한 나라의 위협에 동동대처! 하는 것이 원칙 민주평화론(Democratic Peace Theory) 민주주의정부는 시민의 의사에 따라 정책을 결정하고 전쟁은 시민들의 재산과 생명을 희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민..
두 얼굴의 중국 공산당(제1편)/The Two-Faced Tactic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두 얼굴의 중국 공산당(제2편)/The Two-Faced Tactic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마르크스주의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중공. 중공몽의 숨은 진실.
미국의 페리제독이 일본에 내항한 1853년 이후 20 여 년만에 일본에서는 서양을 따라잡자는 "문명개화운동"이 일어난다. 프랑스의 계몽사상, 영국의 자유주의, 산업화, 민주주의 등을 받아들이자는 운동의 중심에 후쿠자와 유치키가 있었다. 그는 1875년, 문명론의 개략이라는 저서에서 다음과 같은 취지의 주장을 하였다."오랜동안 일본문화의 근원이었던 중국은 먼 옛날에 이미 끔찍한 길로 잘못 들어섰다. 그 결과 일본은 반 문명 상태이다. 중국을 거부함으로써 일본은 완전히 문명화될 수 있다."한편, 아편전쟁에서 패한 차이나는 1860년대에 "자강운동"을 벌이면서 차이나의 전통이 근본적으로 건전하다는 주장과 함께, 엉뚱하고 기괴스럽기조차 해보이는 정크선을 대신하는 서양의 증기선 몇 척을 건조하고, 서양 대포를 약..
혁명의 교훈들은 혁명의 이념을 단숨에 3단계로 분리시킨다. 이것은 정당화할 수 없는 학살에 만족하지 못하는 모든 혁명가들과 반혁명가들이 찬양하는 이념이다. 1. 이데올로기 준비 혁명은 사상의 유효성을 입증해준다. 세계를 지배하기 전에, 이성은 우선 이 세계를 혼란에 빠뜨린다. "당대의 정신 속에서 보이지 않는 비밀의 혁명이 먼저 일어난 후에야 우리 눈에 명백히 드러나는 모든 중요한 혁명들이 일어났다." 예수에 주어진 법칙이며(헤겔), 다음에는 사회주의에 원용하기 위해 초기 기독교인들의 예에서 끌어낸 법칙이다(엥겔스). "하나의 정치권력을 타도하기 위해서는 항상 여론을 먼저 준비해야 하며, 이데올로기적 작업을 해야만 한다" (마오쩌뚱). 마오쩌뚱은 거지들과 손을 잡고 농촌에서 혁명을 일으켰다는 사실을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