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민중민주주의 (2)
Inspiration
민중민주주의 사관 비판 金容稙 | 성신여대 교수, 정치외교 - 목차 -1. 근대사는 민족해방론으로, 현대사는 민중민주주의론으로2. 민중민주주의의 사상적 기원3. 한국의 민중민주주의 등장: 1980년대 초 마르크스주의 사관의 유입 4. 민중민주주의의 관점과 주장 1) 보편을 가장한 특수의 관점: 계급사관 2) 자유민주주의의 실패론 3) 반외세 민족민중혁명론5. 민중민주주의론 비판과 대안 1) 잘못된 철학적 전제: 마르크스주의 계급사관(階級史觀) 2) 역대 대통령의 폄하와 민중운동의 절대화 3) 민주화와 절차적 민주주의 불신론6. 결론 1. 근대사는 민족해방론으로, 현대사는 민중민주주의론으로 고교교과서 한국근현대사를 읽다 보면 놀라운 점은 한국 근현대사가 매우 왜곡된 관점에서 기술되고 있으며 도처에서 마르크..
2017 체제, 태극기냐 촛불이냐대한민국의 긴박한 전환점- 신자유주의와 민중민주주의 대격돌이주천 미래한국 편집위원l승인2017.02.07l수정2017.02.07 18:17이주천 미래한국 편집위원 webmaster@futurekorea.co.kr 올해는 이른바 ‘87체제’가 등장한 지 30년 되는 해다. 역사적으로는 정유재란 420주년이고 1917년 레닌의 볼셰비키 혁명 10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하다. 민주화시대를 열었다고 평가받는 87체제는 1979년의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을 계기로, 12·12와 5·18로 이어지는 총체적 혼란기를 거치면서 등장한 전두환의 신군부가 집권한 5공시대를 마감하기 위해서 5년 직선제 단임의 대통령제를 선택하게 된 87년 6월 민중항쟁으로 성립된 정치체제를 말한다.▲ 이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