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스트라우브 전 한국과장이 언급한 사안 중 ①북한 변수와 관련해 “당선되면 미국보다 북한에 먼저 가겠다”면서 포용정책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②중국 변수와 관련해선 “사드 배치 결정은 다음 정부로 미뤄야 한다”면서 유보적 태도를 보인다. “미국에 노(No)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론적 발언을 두고도 논란이 일어날 만큼 문 전 대표를 불안해하는 보수 인사가 적잖다. ③일본 변수와 관련한 반일정서는 보수, 진보를 막론하고 한국인의 정체성과 관련이 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문재인 전 대표와 다르다. 그에게 호감을 보이는 보수층이 적지 않다. “대통령에 당선되면 중국보다 미국을 먼저 방문하겠다”고 했으며, 사드 배치에 대해선 “한미동맹에 기초한 합의를 존중한다”고 밝혔다. “신뢰할 만한 북한의 변화가 있어 국제 제재가 완화되면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을 재개하겠다”고도 했다. 미국에 종속적인 태도를 가진 이들마저 상대적 안정감을 느낄 만한 발언을 내놓은 것이다.
학생운동 헤게모니 장악
안희정 지사는 1980년대 학생운동의 중심에 서 있었다. 국가관·안보관과 관련해 ‘반미청년회 이력’은 따라붙을 수밖에 없다. ‘주체사상’ ‘반미’가 그가 몸담은 민족해방(NL) 그룹을 상징한다. 사상은 종교와도 비슷한 측면이 있으며 전환이 이뤄지더라도 정서에는 잔향이 어린다. 안희정 지사는 “나의 사상은 확고하다. 나는 민주주의자다”라면서 이렇게 밝힌다. “그 누구도 내 젊은 날의 열정을 반성하라고 할 권리는 없다. 내 젊은 날을 스스로 부정하라는 이 색깔 공세에 나는 굴복하지 않을 것이다.”(안희정, ‘안희정의 함께, 혁명’에서 인용)안희정 지사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밝힌 공인(公人)이므로 지나온 길을 서술하는 것은 언론 비평의 영역일 뿐 색깔 공세는 아니다.
대학가에 북한의 혁명론이 본격적으로 소개된 것은 1983년 김상만 씨의 ‘예속과 함성’이 처음이다. ‘예속과 함성’은 현대사를 반미투쟁 역사로 서술했다. 한국은 미국의 식민지, 군부독재정권은 미국에 예속됐다고 봤다. 김씨는 1985년 구미유학생 간첩단 사건으로 검거된다.
전대협 의장은 ‘얼굴마담’
1980년대 중반 김영환 씨의 ‘강철서신’이 등장한다. 그는 1991년 잠수정을 타고 밀입북해 김일성을 만났으며 이듬해 민혁당을 창당했다. 북한에 환멸을 느껴 1997년 민혁당을 해체하고는 북한 민주화운동에 나섰다. 김영환 씨와 정대화 씨(두 사람은 서울대 법대 82학번 동기다)가 1986년 구학련을 결성해 학생운동 주도권을 장악했다. 구학련은 산하에 반미자주화·반파쇼민주화투쟁위원회를 두고 주체사상을 전파했다. 1986년 11월 김영환 씨 등 지도부가 검거돼 구학련이 와해되자 주사파 학생운동의 중심은 반미청년회로 넘어갔다.반미청년회는 고려대 운동권 주도로 조직됐다. 조혁(노어노문학과 82학번) 씨, 안희정(철학과 83학번) 지사, 김태원(법대 83학번) 씨가 산파다. 조씨가 총책임자, 안 지사가 ‘조직’, 김씨가 ‘선전’을 맡았다. 조씨는 현재 라오스에서 관광업을 하고 있다. 김씨는 ‘안희정 캠프’에 합류했다.
고려대 애국학생회가 반미청년회 모태다. 조혁 씨가 이끈 애국학생회가 1986년 각 대학 주사파 세력을 묶어 전국청년학생사상운동추진위원회(전사추위)를 결성하고 이 조직이 반미청년회로 발전했다. 조씨와 안 지사의 반미청년회는 김영환 씨의 구학련보다 운동 방향이 세련됐으며 방식도 진화했다. 구학련의 활동이 이념 중심의 서클 수준이던 반면 반미청년회는 전국단위 비합법조직을 구성해냈다. 학생운동을 대중운동으로 전환했으며 지하서클을 학생회 조직으로 편입했다.
1987년 전대협을 조직한 것도 반미청년회다. 이인영 민주당 의원, 오영식 전 의원이 1987년, 1988년 고려대 총학생회장과 전대협 1기, 2기 의장을 맡은 것은 반미청년회가 막후에서 결정한 것이다. 우상호 민주당 원대대표가 전대협 1기 부의장(연세대 총학생회장), 임종석 전 의원이 전대협 3기 의장(한양대 총학생회장)을 맡은 것도 반미청년회 지도부의 의중을 따른 것이다.
‘전대협 의장’ ‘총학생회장’ 등은 비합법 조직인 반미청년회가 내세운 ‘얼굴마담’ 격이다. 안희정 지사가 이인영 1기 전대협 의장의 지도선이었다. 안 지사가 지도하고, 이 의원이 지도받는 관계였다.
안 지사는 이렇듯 주사파 지하조직인 반미청년회의 핵심에서 주체사상을 확산하고 반미운동을 조직화했다. 반미청년회가 주도한 학생운동이 대중운동으로 전환해 1987년 6월 항쟁을 견인했으므로 대한민국의 민주화 과정에서도 혁혁한 기여를 했다. 우리가 누리는 민주주의에 적지 않은 공헌을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