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김구 (3)
Inspiration
김구와 동학 대부분의 사람들은 김구가 어린 나이에 동학군의 해주전투에 참여하는 등 동학혁명의 핵심으로 활약했다고 찬양한다. 또한 스무살 무렵엔 민비 살해범으로 추정되는 일본 육군 장교 스치다의 살해를 국모에 대한 복수라고 하여 또한 칭송한다. 동학이 몰락한 가장 큰 원인은 민비 정권의 요청으로 2000명의 청군이 아산만에 상륙한 소위 청병조칙 때문이었다. 일본은 청군의 이러한 움직임에 1885년에 맺어진 천진조약을 빌미로 조선에 파병하여, 결국 청나라와 일본 간에 전쟁이 일어나고, 그 청일전쟁 와중에 일본군과 조선 관군의 연합군에 의해 동학농민군은 힘없이 괴멸될 수밖에 없었다. 백범일지에 기록된 바와 같이 김구가 동학농민군의 주도적인 인물이었다면 민비의 죽음을 그렇게 슬퍼하고 흥분할 수 있었을까? 동학농..
장면 1. "동해야" 김구 선생은 웃음을 멈추고 내게 말했다. "당초 나는 너를 공산주의자로 알고 너를 대한애국단에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았다. 더욱이 네가 여성이기도 하고. 그런데 지금 보니 내가 받아들인 게 옳았다. 본디 너는 대단한 호걸임에 틀림없다. 앞으로 우리 역사에 걸출한 한 명의 여걸이 추가될 것 같다.!" "공산주의가 뭐가 나쁜가요?" 나는 반농담식으로 발했다. "저는 바로 조선공산당원입니다. 저는 조선공산당에서 상하이에 가서 지하활동을 하라고 파견했습니다.. 두 분께서는 아직 모르고 계셨나요? 사실 동산당도 나라를 사랑합니다. 중국공산당에도 '개잡이대(打狗隊)'가 있지 않습니까? 그들은 모두 일본인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듭니다!" "아, 네가 여성 공산당원이었니? 언제 가입했는데?" 윤봉길..
김두봉(골수 공산당 새끼)이 들려주는 조선공산당 탄생 스토리... 당시 조선의 공산세력은 러시아 혁명에서 영향을 받았고, 제3인터내셔널을 통해서 역량이 향상된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 간략한 내용은 "이화림 회고록"이라는 전자쓰레기(ebook)에서 정리한 것. 1919년 이후 이르쿠츠크, 상하이, 치타(Chita), 니크리스크, 블라디보스토크 등지의 조선인이 공산당의 조직 하에서 민족해방혁명의 책동을 계획 1920년 이시(伊市)파와 상하이파가 조선노동공산회(이후 화요회라고 불림)와 합작, 세력을 확대. 1923년 여름, 일본유학생파가 돌아온 후, 화요회를 중심으로 북풍회(일본파), 노동당(블라디보스토크와 연락), 무산자동맹회 등의 지도자와 연합해 1925년 4월 17일 경성부 황금정, 일정목의 중국식당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