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ation
이국종 교수의 격정 토로…"말이 말을 낳는 말의 잔치가 되고 있다" 본문
이국종 교수의 격정 토로…"말이 말을 낳는 말의 잔치가 되고 있다"
북한 귀순 병사의 주치의인 이국종 아주대 교수(중증외상센터장)가 작심을 하고 현재 의료 현실을 비판했다. 이 교수는 22일 오전 수원 아주대병원에서 열린 브리핑을 통해, 북한 군인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느낀 점을 털어놓았다.
우선 이 교수는 이번 수술을 두고 주변의 시선이나 비판에 대한 불편함을 드러냈다. 이 교수는 “서울에 있는 ‘빅5’ 병원이 아닌 아주대 같은 신생 의대는 외부에서 나쁜 의견이 제기됐을 때 힘이 없다”고 말했다. 이후 아주대병원장이 브리핑 취소를 지시했다는 점도 폭로했다. 이 교수는 “원장이 브리핑을 취소하라고 했지만 외신기자까지 와 있는데 그러면 창피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작금의 논란에 대해 “자괴감이 든다”고 말했다. 앞서 김종대 정의당 의원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기생충, 분변, 위장 내 옥수수까지 공개돼 (북한 귀순) 병사의 인격에 테러를 가했다”는 글을 올리며 이 교수를 정면 비판한 것에 대한 반응이었다. 이 교수는 “말이 말을 낳고, 낳은 말이 행동으로 이어지며 말의 잔치가 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의사들은 환자에 대해 쉽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 교수는 또한 그동안 소신이던 중증외상센터에 대한 정부 지원 부족과 인프라 미비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쏟아냈다. 이 교수는 “현재 아주대병원 중증외상센터에 병상이 100개인데, 사투를 벌이는 환자가 150명이나 된다”면서 “(오늘도) 30분 전(10시 40분경)부터 중환자실이 꽉차서 환자를 더 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현행 응급환자 수송 체계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이 교수는 “이번 북한군 병사가 현장에서 병원까지 오는데 30분이 걸렸고, 응급조치와 수술준비를 하는 데 30분이 걸렸다”면서 “이는 미군 더스틴호프팀의 후송 덕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 귀순 병사가 한국에서 치료를 빨리 잘 받을 것을 기대하고 귀순하지 않았겠느냐”면서 “하지만 응급실에서는 환자들이 내버려져 있다가 죽을 수 있을 정도(사람이 많고 시설이 부족하다)”라고 말했다.
북한 귀순 병사의 주치의인 이국종 아주대 교수(중증외상센터장)가 작심을 하고 현재 의료 현실을 비판했다. 이 교수는 22일 오전 수원 아주대병원에서 열린 브리핑을 통해, 북한 군인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느낀 점을 털어놓았다.
우선 이 교수는 이번 수술을 두고 주변의 시선이나 비판에 대한 불편함을 드러냈다. 이 교수는 “서울에 있는 ‘빅5’ 병원이 아닌 아주대 같은 신생 의대는 외부에서 나쁜 의견이 제기됐을 때 힘이 없다”고 말했다. 이후 아주대병원장이 브리핑 취소를 지시했다는 점도 폭로했다. 이 교수는 “원장이 브리핑을 취소하라고 했지만 외신기자까지 와 있는데 그러면 창피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작금의 논란에 대해 “자괴감이 든다”고 말했다. 앞서 김종대 정의당 의원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기생충, 분변, 위장 내 옥수수까지 공개돼 (북한 귀순) 병사의 인격에 테러를 가했다”는 글을 올리며 이 교수를 정면 비판한 것에 대한 반응이었다. 이 교수는 “말이 말을 낳고, 낳은 말이 행동으로 이어지며 말의 잔치가 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의사들은 환자에 대해 쉽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 교수는 또한 그동안 소신이던 중증외상센터에 대한 정부 지원 부족과 인프라 미비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쏟아냈다. 이 교수는 “현재 아주대병원 중증외상센터에 병상이 100개인데, 사투를 벌이는 환자가 150명이나 된다”면서 “(오늘도) 30분 전(10시 40분경)부터 중환자실이 꽉차서 환자를 더 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현행 응급환자 수송 체계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이 교수는 “이번 북한군 병사가 현장에서 병원까지 오는데 30분이 걸렸고, 응급조치와 수술준비를 하는 데 30분이 걸렸다”면서 “이는 미군 더스틴호프팀의 후송 덕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 귀순 병사가 한국에서 치료를 빨리 잘 받을 것을 기대하고 귀순하지 않았겠느냐”면서 “하지만 응급실에서는 환자들이 내버려져 있다가 죽을 수 있을 정도(사람이 많고 시설이 부족하다)”라고 말했다.
'역사 > 대한민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도자료] 독일 등 교민사회, 촛불1000만에 인권상 주는 에버트 재단에 공동 항의 (0) | 2017.11.24 |
---|---|
KBS 내외에 '감사원, KBS이사들에 대한 감사보고서 의결...해임 등 조치 요구' 소문 (0) | 2017.11.24 |
[팩트 체크] "서울 집값이 도쿄보다 1.4배나 비싸다"… '헬조선' 분노 부른 與의원 발표는 엉터리 (0) | 2017.11.22 |
북한 주민들은 왜 침묵과 복종을 하는가 (0) | 2017.11.22 |
촛불 청와대. (0) | 2017.11.21 |
Comments